수면2 아이를 덜 울리는 간단한 방법 및 통잠 재우기 아이의 울음은 표현의 방식입니다. 말을 하지 못하는 아이는 춥다, 덥다, 배고프다, 응아를 했다 등 무수히 많은 표현을 할 때 울음으로 표현하곤 합니다. 그래서 아이를 안 울리고 키울 수는 없지만, 덜 울리고 키울 수는 있지요. 아기가 울고 있을 때 현재 육아를 하고 있는 부모님들 또는, 예비부모가 되실 여러분들은 어떤 리액션을 취하시나요? [리액션 1] 아이가 울 때마다 바로 젖을 물리거나, 분유를 먹이거나 안아 올린다. [리액션 2] 급한 상황이 아니라면, 아이가 일단 왜 우는지에 대하여 잠깐 생각을 해본 뒤에 거기에 대한 적절한 대응에 들어간다. (물론 생각하는 동안에는 아이는 자지러지게 울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아기 울음소리를 행복하고 평온한 자장가 오르골처럼 받아들이는 부모가 있을까요? 육아는.. 2023. 8. 14. 아기 수면교육의 시기 및 종류, 퍼버법, 쉬닥법, 안눈법 등 수면교육의 중요성 잠을 자는 동안 아기의 몸은 성장과 발달을 돕는 호르몬을 분비하게 됩니다. 신생아 시기에는 수면에 특별한 리듬이 없기 때문에 먹고 자고를 반복하게 되는데, 최대 16시간 까지도 잠을 잡니다. 성장하면서 아이는 점점 수면의 패턴이 변하게 되고 규칙이 생기게 됩니다. 생후 100일까지의 시간은 아이가 낯선 세상에 적응하는 시간이기도 합니다. 이때 수면 교육을 통하여 집중력, 기억력, 의사결정력, 문제해결력 등의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적절한 수면은 아이에게 매우 중요하며 양질의 수면을 통하여 아이가 건강하게 잘 성장하는 것이 목적이 되어야 합니다. 아이에게 수면 교육을 하기 전에 여러분(엄마, 아빠)의 컨디션이 좋을 때 시작해 주세요. 첫 째 날, 아이가 많이 울어서 잠을 못이루는 경우가 많으.. 2023. 8. 1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