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을 하면 생리가 중단되는 것 이외에도 다양한 자각 증상이 나타납니다.
특히 생리가 불규칙한 여성이 참고하면 도움이 될 여러 가지 임신 징후를 알아봅시다.
생리가 일주일 이상 늦어집니다
생리주기가 규칙적인 경우에 생리 날짜가 예정일보다 일주일 이상 늦어지게 되면 임신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정자와 난자가 만나서 수정이 이루어지고 자궁벽에 배아 세포가 착상하게 되면 생리가 중단되기 때문인데요
스트레스와 정신적 충격, 내분비 기능 저하, 자궁의 발육부전이나 난소 이상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임신이 아닌데도 생리가 멈출 수 있으므로 다른 임신 징후들이 동반이 되는지 확인하며 만약 생리가 멈추는 증상이 발생되었다면 산부인과에 가셔서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보시는 게 좋습니다.
체온이 높고 으슬으슬 몸이 춥습니다
평소보다 체온이 높고 때론 감기에 걸린 것처럼 몸이 으슬으슬 춥게 느껴집니다. 임신을 하게 되면 생리 예정일이 되어도 기초체온이 내려가지 않고 배란기처럼 36.7~37.2도 정도의 미열이 임신 13~14주까지 계속되는 됩니다.
따라서 미열이 3주 이상 계속되면 임신이라고 볼 수 있으나, 이러한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으며 다른 질병이 원인일 수도 있습니다.
이 시기에 약을 복용하시거나 방사선 검사를 받으면 태아가 기형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임신 가능성이 있는 시기에는 의사의 처방 없이 어떠한 약도 드시면 안 됩니다.
쉽게 피로를 느낍니다
몸이 노곤하고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며 수면량이 많아집니다. 이유 없이 짜증이 나기도 하는데 이는 황체호르몬의 영향으로 생명을 잉태한 임신부의 몸을 보호하기 위하여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단 질병을 앓고 있는 경우라면 해당 질병 전문의의 진찰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기미와 주근깨가 두드러집니다
유방뿐만 아니라 얼굴, 복부, 외음부, 겨드랑이 등에 색소침착 현상이 나타납니다. 황체호르몬의 영향으로 멜라닌 색소가 많아지면서 생기는 현상인데요, 기미나 주근깨가 두드러지고 눈 주위가 거무스름해집니다.
아랫배가 당기며 변비가 생깁니다
자궁의 크기가 커지면서 아랫배가 단단해지는 느낌이 들며 변비가 생기기도 합니다. 이는 황체호르몬의 영향으로 장운동이 약해지고 자궁이 점차 강하게 장을 압박하기 때문입니다.
심한 경우에는 치핵이나 치질이 생길 수도 있으며, 원래 치핵이 있는 경우에는 증상이 더욱 악화될 수 있습니다.
유방이 커지고 아픕니다
생리 전 유방이 부풀고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있는데, 임신 초기에도 이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유두가 민감해져서 속옷에 닿으면 아프고, 접촉이나 온도 변화에 예민하게 반응을 합니다. 유두나 유륜이 거무스름하게 변하기도 하는데요 이런 변화를 느끼지 못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질 분비물이 많아집니다
수정란이 자궁에 착상하게 되면 호르몬의 영향으로 자궁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분비물 또한 많아지게 됩니다,. 임신 초기 분비물은 냄새가 없고 끈적끈적한 유백색의 점액으로 가려움증도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만약 질 부위가 가렵거나 분비물에서 냄새가 나거나 초콜릿처럼 색깔이 짙고 고름 상태일 경우 세균성 질염이나 칸디다 질염, 트리코모나스질염일 수 있으므로 반드시 병원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소변을 자주 봅니다
소변이 자주 마려울 뿐 아니라 소변을 본 후에도 잔뇨감이 있는 듯 불쾌합니다 이는 임신을 하게 되면 자궁을 보호하기 위하여 골반 주위로 혈액이 몰리고, 그 혈액이 방광을 자극하기 때문인데요.
커진 자궁이 방광을 누르는 것도 원인입니다. 자궁이 골반강에서 상복부로 올라와 방광을 압박하지 않는 임신 중기에 증상이 사라졌다가 임신 후기가 되면 태아 머리가 방광을 누르면서 다시 증상이 타나 납니다.
임신 중 소변을 참게 되면 방광염에 걸리기 쉬우므로 요의를 느끼면 곧장 화장실에 가는 게 좋습니다.
입덧 증상이 나타납니다
입덧은 보통 임신 2개월경에 시작하지만, 일찍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저의 배우자도 둘째를 임신하자마자 입덧이 시작되었는데요, 가벼운 구토 증세와 식욕부진, 평소 좋아하는 임식이 갑자기 싫어지는 등의 증세가 나타납니다.
첫 임신일 때는 입덧 증상을 알지 못하고 체한 것으로 생각하여 약을 먹거나 내과 검진을 받는 경우도 있으니 유의해야 합니다.
상상임신의 경우에도 임신 징후가 그대로 나타나게 되며, 그러나 병원 검진으로 임신이 아닌 것이 확실해지게 되면 나타난 증상들이 자연스럽게 사라집니다.
임신인 줄 모르고 약을 복용하였는데 어떡하나요?
사람에 따라서 또는 첫 임신인 경우에 초기에 임신 징후를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로 인하여 감기약, 진통제 등을 무심코 복용하고 극단적으로 임신 중절 수술을 선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무조건 약을 먹었다고 하여 태아에게 해로운 것은 아닙니다. 실제로 태아에게 영향을 미치는 약물은 20가지 정도인데, 이 약들도 임신 시기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범위가 다릅니다.
임신 사실을 모르고 약을 먹었다면, 복용한 약 이름과 양을 체크하여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담을 하셔야 합니다.
보건복지부에서 운영하는 한국마더세이프전문 상담 센터(www.mothersafe.or.kr, 1588-7309)를 통하여 임신 중 약물 복용에 대한 긴급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임신을 알기 힘든 경우
출산 후 모유 수유 때문에 생리가 없는 시기, 임신 중절 수술을 받은 뒤에 생리불순의 경우 등에는 이미 임신 자각증상과 비슷한 증상을 겪고 있기 때문에 임신 사실을 알기 힘듭니다.
또 자궁 외 임신이나 이상 임신의 경우도 임신 사실을 모르고 지나칠 수 있는데요, 출혈의 양상이 생리와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장기간 루프를 낀 경우에, 질 내 염증이 많은 경우, 과거 유산 경험이 많거나 피임약을 장기 복용한 경우에는 특히 임신 여부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임신을 확인하는 법
임신 진단 시약 테스트 (임신테스트기)
임신을 하면 임신 호르몬인 융모성선 자극 호르몬(hCG)이 소변으로 배출되는데, 이를 활용하여 임신 여부를 알 수 있다. 수정 후 7~9일이면 검사가 가능하며, 아침 첫 소변으로 검사를 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생리 예정일 5일 전에 검사할 수 있는 조기 임신 진단 시약도 있습니다.
소변 검사
병원에 가면 처음 하는 진단법으로, 수정된 지 4주가 지나야 100%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정 2주 후에 검사해도 90%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혈액 검사
병원에서 받는 검사로, 소변 검사보다 정확하며 혈액 속 융모성선 자극 호르몬 여부로 임신을 확인하며, 수정 2주 후에 하면 임신 여부를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초음파 검사
임신 4주가 지나면 질식 초음파 검사를 통하여 임신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임신 5주부터는 복부 초음파 검사로도 확인할 수 있지만, 임신 10주까지는 질식 초음파 검사가 더 정확합니다.
'육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교를 실천하며 배 속 아기와 교감을 나누는 방법 (3) | 2023.08.19 |
---|---|
입덧을 극복하는 방법 (0) | 2023.08.17 |
2023년 출산 지원금 출산혜택 첫만남이용권 부모수당(부모급여) 양육수당 아동수당, (0) | 2023.08.16 |
아기 이빨 나는 순서와 유치는 언제 생겨날까 (0) | 2023.08.15 |
우는것을 허용함으로써 아이가 배울 기회를 주자 (0) | 2023.08.14 |